목록📄 노트 (5)
티처프레너스 노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uaYg/btq0oaCR8Oi/EuzTHC9DvaaZ6bswxRRxk1/img.png)
INTRODUCTION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터실을 비롯한 특별 교실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을까? 각 학급별로 배정된 시간이 있다해도 다른 일정으로 인해 특별 교실을 이용하지 못한다거나, 배정 시간이 아닌데 급하게 이용해야 하는 경우 다른 학급에 양해를 구해서 이용하기도 한다. 이러한 낭비와 수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 중 하나가 '특별 교실 예약제'이다. 어떤 학교는 공유폴더 상의 엑셀파일을 이용하기도 하고,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하기도 한다. 컴룸닷넷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다. 이은섭 개발자는 교사로 재직하던 중 이러한 문제를 포착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컴퓨터실 예약 웹서비스를 구축하였다. 비록 현재는 개발자로 일하는 중이지만, 문제의 접근과 해결 과정에서 티처프레너십이 돋보였기에, 티..
교사 해커톤이 열린다면 어떨까? 선생님들이 한 데 모여 교육 개선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아이디어를 실현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면? 실행력을 갖춘 기획자와 이를 실현할 기술자가 만난다면 많은 티처프레너 사례가 만들어질 텐데. 교사 커뮤니티에서 주최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짧게 해보았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TJIK/btq0bwxMSgO/NBufficTok2T5002bufIiK/img.png)
INTRODUCTION 2021년 3월 분주한 학기 초, 인디스쿨에 학생 관리 앱을 소개하는 글이 올라왔다. 6년차 교사인 E 교사가 직접 개발한 아이폰 전용 앱인 에 대한 글이었다. 앱은 입력한 학생 데이터와 함께 과제 관리, 관찰기록, 상담기록 등을 지원하는 앱이다. 우리반 앱은 다음 주소에서 설치가 가능하다. (아이폰 전용) https://apps.apple.com/nz/app/%EC%9A%B0%EB%A6%AC%EB%B0%98/id1556429572 우리반 학생에 대한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를 도와주는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을 갖춘 앱입니다. 1. 먼저 학교와 학반을 생성하고 2. 우리반 학생을 등록합니다. 3. 그리고 각 학생에 대한 관찰(행동발달 apps.apple.com E 교사는 학급을 운영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WYlO/btqYB4XtQI2/cgiYNkIi7Buyu9Ej1Adjpk/img.png)
INTRODUCTION '오늘뭐써요(cwriting.kr/)'는 초등학교 글쓰기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글감을 추천해주고, 학생들이 글을 올릴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초등 글쓰기 플랫폼이다. 웹 버전과 모바일 앱 버전이 존재한다. 오늘 뭐 써요? 날마다 새로운 글쓰기 소재 cwriting.kr '오늘뭐써요'를 개발한 민 선생님은 시리즈를 출판해오고 있다. '오늘뭐써요'는 선생님의 전문성과 교육 개선을 위한 고민이 합쳐져 나온 작품이기에 대표적인 티처프레너(Teacherpreneur)의 사례라고 생각했고, 몇 가지 질의하고자 인디스쿨 내 메신저를 통해 연락드렸다. INTERVIEW 1. 개발 또는 공교육 개선과 관련해서 함께하고 계신 교사 커뮤니티가 있나요? 특별히 소속된 커뮤니티는 없습니다. 교육 현안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i8xW/btqYuskW43w/sKFs1kWtoTW4lfj0dtHD51/img.png)
INFORMATION * 일시 : 2021년 2월 25일(금) 19:00 * 주최 : (사)아시아교육협회 * 원본 영상 : youtu.be/Jpghh_M1Gmw SUMMARY 웅진씽크빅의 미션 : 어린이의 10년을 생각한다 웅진씽크빅 20여년의 역사 - 처음 입사했을 때는 닷컴 시대였다. 인터넷을 통한 학습이 주 관심이었다. - 그 뒤 10년에는 모바일 학습으로 움직였다. - 2014~15년에 디지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많이 쌓였다.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가 쌓이면서 스토리지 문제가 생겼다. - 2016년경 빅데이터 트렌드가 나왔다. 웅진씽크빅만큼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는 회사는 없을 것이다 생각했다. 그제서야 그 데이터들을 활용해보자는 이야기가 시작되었다. 그 뒤로 AI를 활용한 교육까지 연결..